울산 집값이 심상치 않다. 지난 2년간 하락하던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해 들어 상승하기 시작하더니 최근 1년 사이 무려 10%나 올랐다. 이처럼 단기간에 급등한 원인으로는 조선업 경기 회복과 규제 완화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의 상황은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이미 너무 많이 올랐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고,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 움직임 또한 부담요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 시점에서는 무리하게 투자하기보다는 시장상황을 좀 더 지켜보는 신중함이 필요하다.
조선업 경기회복세가 지속될까요?
최근 몇 년간 침체되었던 조선업 경기가 살아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규모인 현대중공업 해양공장이 가동되면서 고용창출 효과뿐만 아니라 세수증대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들이 실제 주택시장에까지 미칠지는 미지수다. 왜냐하면 현재 진행 중인 구조조정 과정에서 실업률 증가 및 협력업체 부도 등 부정적인 요소들이 발생할 경우 수요자들의 심리위축으로 인해 오히려 역효과가 날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역주택조합아파트 괜찮을까요?
일반분양 대비 저렴한 분양가로 공급되는 지역주택조합아파트는 조합원 모집과정에서 토지매입비 협상 지연, 사업계획 승인 지연 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주택조합사업은 지구단위계획수립 후 추진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은 편이다. 그리고 입주 시 시세차익 실현이라는 장점도 무시할 수 없다. 단, 가입조건(무주택 또는 전용면적 85m2 이하 1채 소유)을 꼼꼼히 따져보고 주변시세대비 저렴한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부동산투자 어떻게 해야할까요?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정책 발표 이후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 중심으로 거래가 급감하면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 지방 주요도시들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으며 신규 청약경쟁률도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양극화가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입지여건이 우수한 곳은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되어 강세를 보일 것이고 그렇지 않은 곳은 약세를 면치 못할 것이란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