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교육부 보도자료 2015년 11 28일 자 자료입니다
먼저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수준학업 성취도평가란 무엇일까요 이 시험이 어떤 목적인지 궁금하시죠 바로 전국적 수준에서 학습자의 학력 도달 정도 파악 및 기초학력 미달학생 지원 등 교수학습 개선 정책 수립 기반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답니다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인 분석 들어가보시죵 조사대상 학년별 현황 출처 교육부 위 표처럼 2014년도 전체 응시인원수는 약 572만명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 보통 이런 경우라면 대부분 초등학생들이 많이 참여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고등학생들까지 포함하여 보면 중학생보다 오히려 더 많다는 것인데요 왜 그럴까요 그건 아래 설명드리면서 말씀드릴게요 일단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대학입시 때문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특히나 서울 상위권대학이나 지방국립대 같은 곳일수록 수시 비중이 높기때문에 내신성적 관리에도 신경써야 할 뿐더러 수능시험 준비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 되니 당연히 그런 거라고 봅니다 그래서 그런지 실제 응시자수도 2013학년도 대비해서 무려 4 정도 증가했어요 하지만 그렇다해도 여전히 다른 나라에 비해서 낮은편인데 과연 어떻게 해야할까요 우선 첫번째로는 사교육비의 문제에요 사실상 공교육비 자체가 워낙 비싸다보니까 사교육비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는데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성적관리 쪽으로 눈돌리기가 쉽지않아요 게다가 요